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y)

정의
발달장애란 어느 특정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하는 나이에 이루어져야 할 발달이 성취되지 않은 상태로, 발달 선별검사에서 해당 연령의 정상 기대치보다 25%가 뒤쳐져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발달장애는 운동발달 지연과 언어발달 지연, 전체적 발달 지연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반적 발달 지연(global developmental delay)은 대운동(gross motor), 미세운동(fine motor)과 인지, 언어, 사회성과 일상 생활 중 2가지 이상이 지연된 경우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원인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염색체 이상 등에 의한 선천성 대뇌 발달 이상이나 미숙아, 주산기 이상, 출생 후에 발생하는 각종 대사 이상, 감염, 출혈, 저산소증 등의 생물학적 요인과 산모의 음주, 부모의 약물 중독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연령별로 발달 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운동 발달
- 100일 : 목을 가누지 못한다.
- 5개월: 뒤집지 못한다.
- 7개월: 혼자 앉지 못한다.
- 9~10개월: 붙잡고 서질 못한다.15개월: 걷지 못한다.
- 만 2세: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가지 못한다.
- 만 3세: 한 발로 잠시도 서 있질 못한다.
- 만 4세: 한 발 뛰기를 못한다.


‌2) 미세 운동 발달
- 3~4개월: 주먹을 꽉 잡고 펴지 못한다.
- 4~5개월: 장난감을 움켜쥐지 못한다.
- 7개월: 물건을 한 손에 쥐지 못한다.
- 12개월: 엄지와 검지로 작은 물건을 잡지 못한다.
- 18개월: 양말이나 장갑을 혼자 못 벗는다.
- 24개월: 5개의 블록을 쌓지 못한다.
- 만 3세: 원을 보고 그리지 못한다.
- 만 4세: 십자가와 사각형을 보고 그리지 못한다.


‌3) 언어 발달
일반적으로 18개월이 되어도 말보다는 몸짓으로 의사 표현을 하거나, 만 2세에도 간단한 두 단어 문장을 만들지 못하거나 만 3세가 되어도 의사 표시를 위한 문장을 못 할 때에는 언어 발달의 이상을 의심해야 합니다.


‌4) 사회심리 발달
- 3개월: 주위의 자극에 반응하여 미소를 짓지 않는다.
- 6~8개월: 유쾌한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웃지 않는다.
- 12개월: 달래기가 어렵고 비협조적이다.
- 24개월: 아무 이유 없이 치고, 물고, 소리를 잘 지른다.
- 만 3~5세: 다른 아이와 어울리지 못한다.



진단
부모의 관찰 내용을 참고로 하는 발달선별검사(developmental screening test)를 통해 진단됩니다. 검사는 대상 연령에 따라 목적이 달라집니다. 신생아 시기에는 신경학적인 문제, 영아기에는 운동·감각·인지 부분의 문제, 학령 전기와 학령기에는 학습과 사회적 문제를 조기에 발견해 조치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치료
발달 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원인 질환에 따라 근원적인 치료는 다를 수 있습니다.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동의 잠재력을 최대화하고 이차적인 합병증을 최소화하여 가능한 독립적인 생활을 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