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정의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는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장애로,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맥락에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유병률
미국 소아정신과학회의 통계에 따르면 평균 학령기 아동의 유병률은 약 3~8% 정도이며, 남자 아이가 여자 아이보다 약 3배 정도 더 높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원인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으나 뇌 영상 촬영에서 정상인에 비해 활동과 주의집중을 조절하는 부위에 뇌신경 전달물질의 부족 및 기능적 발달지연으로 인해 행동 조절장애가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적인 경향과도 연관되어 있으며 대뇌감염, 외상, 임신 혹은 출산 중의 손상이나 합병증으로 인해 대뇌 전두엽 피질의 손상이 ADHD의 증상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ADHD 아동들은 주로 작업기억, 계획세우기, 언어적 유창성, 운동순서 정하기 등의 어려움과 함께 행동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일상생활에서는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는 등 활동 수준이 대체로 높으며, 또한 생각하기 전에 행동하고, 말이나 행동이 많으며, 규율을 이해하고 알고 있는 경우에도 급하게 행동하려는 욕구를 자제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진단
병원 및 기관에서 진행하는 간단한 선별 검사 이외에도 증상의 맥락을 이해하고 아동의 신경학적 요인과 아동관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진단합니다.
치료
아동기 시기의 약물치료는 아동의 집중력, 학습능력, 기억력, 수행능력 향상에 큰 호전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치료 이외에도 아이의 발달정도와 증상에 맞추어 아이의 충동성을 감소시키고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